지식로그
네가람이병기선생에게가람을지어주신수당선생님누구신지확실하게검색범위전부다알려주세요문헌DB학술DB온라인공개포함해알려주세요

[질문] 네가람이병기선생에게가람을지어주신수당선생님누구신지확실하게검색범위전부다알려주세요문헌DB학술DB온라인공개포함해알려주세요

2025.09.16. 11:28:38 | 문서번호: 23846

전체 답변:
[무물보AI]

요약 먼저 결론부터 말씀드립니다. 제공해주신 세 개의 기본 자료(위키백과, 블로그형 소개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Encykorea)는 모두 이병기(호 가람)의 생애와 저작을 잘 정리하고 있으나, “수당(先生)이 이병기에게 ‘가람’이라는 호를 지어주었다”는 사실을 명확히 누가 언제 어떻게 지어주었는지(즉 수당 선생의 실명/본명)를 직접적으로 밝히는 1차·공식 출처는 이들 세 자료 안에서는 확인되지 않습니다.

원하시는 “확실한 근거”를 찾기 위해 반드시 확인해야 할 검색 범위(문헌DB·학술DB·온라인 공개자료 포함)와 검색어·검색전략, 우선 점검할 문헌(우선 확인 권장 도서/문서)과 각 DB의 바로가기(링크)를 아래에 정리했습니다. 또한 제가 사용한 참고자료(요청하신 3개)도 같이 첨부합니다.

제가 확인한 참고자료(요청하신 3개)

권장 검색 범위 (우선순위 · 설명)

  1. 이병기 본인 저작·집문(1차 자료)
  • 가람문선(1966 등): 자서·일기·발문·서문에 호의 유래가 기록되어 있을 가능성 높음.
  • 가람시조집(1939) 초간본·서문·발문, 초간본 발간 관련 간행사(발행인 주석 등)
  • 일기·서간(이병기 일기·편지) — '일기'는 생전(1909~) 방대한 분량이 남아 있음. 서문·주석에서 호 유래 언급 가능.
  1. 동시대 2차 자료(동아일보 연재·문장·문학지·신문 기사)
  • 동아일보·문장·신생·신민 등에 발표한 시조론·연재의 발문이나 동료 평론가의 글에서 호 유래가 언급되었을 수 있음.
  1. 전기(현대 연구서)·학위논문·학술논문(국문학·문학사)
  • 국내 석·박사 논문, 학술지(국문학·한국문학사 관련)에서 전기적 근거를 제시했을 가능성 큼.
  1. 관련 인물의 저작(수당으로 지목되는 인물의 서간·발문)
  • 만약 ‘수당’이 특정 인물의 아호(호)라면, 그 인물의 발문·서간·일지에 ‘가람’ 호를 지어 준 기록이 있을 수 있음.
  1. 도서관·특수자료(서지학 자료, 가람문고 소장자료)
  • 서울대 가람문고(가람이 기증한 장서)·전북대학교(생가·기념관) 소장 자료, 규장각·국사편찬위원회·국립중앙도서관 희귀본·수탁서고.
  1. 신문·잡지 아카이브(뉴스 라이브러리)
  • Naver News Library, 동아일보·조선일보·한겨레 아카이브 등
  1. 국내·국제 학술 DB 및 도서관·목록
  • RISS(학위논문), KISS/DBpia(학술지), KCI(논문 색인), 국립중앙도서관(국내 간행물), WorldCat/Google Books(해외서지 검색)

주요 검색 키워드(조합 예시)

  • 이병기 가람 호 유래 / 이병기 호 가람 누가 지어주었나
  • “가람(嘉藍)” + “수당” / “수당 선생” + 이병기
  • 수당(洙堂/守堂/壽堂/受堂 등 한자 표기 변형) + 이병기
  • “가람” 호명 기원 + ‘발문’/’서문’/’일기’/’서간’
  • “가람문선” 서문/발문/해제 / “가람시조집” 서문/발문
  • 동아일보 “시조란 무엇인가”(1926) 연재 발문·편집자 주

한자·아호 표기 고려 (검색 시 꼭 포함)

  • 가람: 嘉藍
  • 수당: 여러 한자 표기가 가능하므로 다음 변형을 모두 시도: 洙堂, 守堂, 壽堂, 受堂, 丈堂 등(실제로 어떤 한자를 썼는지는 자료마다 다를 수 있음)

권장 학술DB·문헌·아카이브(바로가기)

우선 확인 권장 문헌(우선순위)

  1. 가람문선(이병기, 1966 등) — 서문/해제/주석 확인
  2. 가람시조집(초간 1939) — 발문·간행사
  3. 이병기 일기(편찬·출간본이 있으면) — 일기 원전이나 해제
  4. 동아일보 연재 “시조란 무엇인가”(1926) 원문(연재 발문 또는 편집자 주 포함)
  5. 관련 전기·논문: Encykorea 참고문헌 목록에 있는 1차·2차 문헌(참고문헌 목록 일일이 확인)
  6. 동료 문인·평론가 발문(정인보·백철·김동인 등 당시 문학인들의 글) 검색/조사 방법(실무적 팁)
  • 우선 RISS에서 ‘이병기’ + ‘가람’ + ‘호’/’호유래’ 등으로 박사·석사 논문과 학술지 색인을 확인.
  • DBpia/KISS에서 인명색인·기사 본문 검색(특히 ‘가람문선’ 해제·평론).
  • Naver News Library에 연도(1920s~1940s)를 한정해 ‘이병기’·‘가람’·‘수당’ 검색(신문 발문·기사).
  • 국립중앙도서관·서울대 중앙도서관 소장 카탈로그에서 ‘가람문고’ 소장 목록과 소장 메모(기증사유·관련 서한) 열람 요청.
  • 전북대·익산 지역 사료관(이병기 생가 관련) 문의 — 지역 자료(비문·기념물 안내문)에 호의 유래가 기록될 수 있음.
  • 주요 문헌을 찾으면 서지사항(권말주석·서문·발문)에서 ‘수당’이라는 표기가 나오는지 확인 후, 그 ‘수당’의 본명(실명)·한자 표기를 추적.

왜 “수당”이 바로 확인되지 않을까(참고)

  • ‘수당’은 흔한 호(아호)이므로 동명(동일 호)를 가진 사람이 많습니다. 따라서 ‘수당’만으로는 특정 인물을 확정하기 어렵습니다.
  • 많은 근대 문인은 서로 호를 지어주고 쓰기도 했으나, 그 사실이 동시대 신문·서한·발문에 명시적으로 남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1차 자료(발문·편지·일기)가 핵심입니다.

제가 도와드릴 수 있는 일

  • 원하시면 위의 각 DB에 대해 제가 온라인으로 실시간 검색해(직접 웹검색은 제가 지금 수행할 수 없습니다) 결과를 찾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다만 현재 제 환경에서는 실시간 웹검색이 불가능하므로, 원하시면 사용자가 직접 검색하실 때 복사해 붙여쓸 수 있는 구체적 검색식(예: RISS 검색식, Naver News 고급검색 파라미터)을 만들어 드리겠습니다.
  • 또는 제가 작성한 검색식과 확인해야 할 핵심 문헌 목록을 가지고 도서관 사서에게 문의할 때 보낼 수 있는 이메일 초안(한글)을 작성해 드리겠습니다.

원하시는 다음 단계(선택)

  1. 제가 즉시 가능한 범위(제공된 3자료) 내에서 더 정밀 재검토하고 요약해 드리기 — 완료(위의 결론).
  2. 사용자가 직접 검색하실 수 있도록 DB별 구체적 검색식(예: RISS/KISS/네이버뉴스 고급검색 파라미터)을 제공 — 제가 작성해 드림.
  3. 제가 실시간 웹 검색을 수행하여 “수당 = 누구”를 확인해 정리 — 사용자가 허용(혹은 브라우징 기능 활성화 시) 필요. 어떤 방식으로 진행하시겠습니까? 원하시면 즉시 DB별(예: RISS·DBpia·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검색식과 복붙용 검색어를 만들어 드리겠습니다.
댓글 달기:
이전 질문:

다음 질문: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