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조부(玄祖父) 윗조상의 명칭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한국의 전통적인 족보나 가계도에서 조상의 호칭은 대체로 다음과 같이 이어집니다.
즉, 현조부는 4대 위 조상을 뜻하며, 그 윗대는 래조부, 곤조부, 잉조부, 운조부 순으로 올라갑니다.
이 명칭들은 전통적인 족보에서 사용되는 한자어로, 각 대를 구분하는 데 쓰입니다. 일반적으로 8대조까지를 가족관계의 범위로 보며, 그 이상은 흔히 기록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참고로, 아래는 대략적인 대수별 명칭 정리입니다.
대수 | 명칭 | 한자 | 의미 및 비고 |
---|---|---|---|
0대 | 본인 | 本人 | 자신 |
1대 | 부(父) | 父 | 아버지 |
2대 | 조부(祖父) | 祖父 | 할아버지 |
3대 | 증조부(曾祖父) | 曾祖父 | 증조할아버지 |
4대 | 고조부(高祖父) | 高祖父 | 고조할아버지 |
5대 | 현조부(玄祖父) | 玄祖父 | 현조할아버지 |
6대 | 래조부(來祖父) | 來祖父 | 래조할아버지 |
7대 | 곤조부(坤祖父) | 坤祖父 | 곤조할아버지 |
8대 | 잉조부(仍祖父) | 仍祖父 | 잉조할아버지 |
9대 | 운조부(雲祖父) | 雲祖父 | 운조할아버지 |
이상으로 현조부 윗조상의 명칭에 대해 정리해 드렸습니다. 필요하신 경우 족보나 가계도 작성 시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